
- 비반응형인 해당 웹사이트를 반응형 웹사이트로 재구축합니다.
- 중복되는 메뉴 및 바로가기를 정리하고 각 영역을 기능별로 뚜렷한 레이아웃로 구분합니다.
- 전반적인 색감과 아이콘 스타일에 통일감을 부여합니다.
- 도서 및 배너 이미지를 적절한 크기와 높은 해상도로 교체합니다.
평촌도서관 웹사이트 리디자인 프로젝트입니다. 기존 웹사이트가 지닌 단점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기획 및 디자인을 통하여 개선하였습니다. 개발 측면에서는 간단한 회원가입과 로그인 기능을 구현하였습니다. 더불어 공지사항 및 도서 소개 영역에 필요한 데이터를 임시 DB에서 불러온 후, 동적으로 화면 요소를 구성하였습니다.
문제점 및 해결 방안, 와이어프레임 및 기능 소개, 스타일 가이드, 최종 디자인 순으로 구성하였습니다.
랜딩 페이지, 회원가입 및 로그인 페이지
디자인 및 프론트엔드 개발 전담 (1인 프로젝트)
웹 디자인 툴:
Figma, Photoshop, Illustrator
개발 툴:
Visual Studio Code, Github
사용 언어:
HTML, PHP(헤더 및 푸터 include 사용), CSS(SCSS), Javascript(Vanilla)
기존의 웹사이트를 분석하여 개선이 필요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 방안을 정리하였습니다.
2023년 8월 기준, 평촌도서관 홈페이지가 개편된 상태입니다. 다음 이미지는 개편 전 스크린 캡처입니다.
리디자인한 와이어프레임의 구성 요소 및 기능을 소개합니다. 화면 상단에서 하단으로 순차적으로 구성하였습니다.
현재 사용 중인 기기 또는 브라우저의 가로 폭(px 기준)에 반응하여 와이어프레임이 소개됩니다. (모바일/태블릿/데스크톱)
좌우 버튼을 사용하여 서비스들을 편리하게 둘러볼 수 있도록 슬라이더로 구현하였습니다. 기기 및 브라우저의 가로 폭에 반응하여 보여지는 항목 개수가 조절됩니다. 더불어 기존 이미지를 새로운 아이콘으로 교체하여 통일감과 주목도를 높였습니다.
fetch API를 활용하여 임시 DB에서 HTTP 통신으로 데이터를 불러오고 최신순으로 정렬 및 원하는 개수만큼 추출합니다. 추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게시글 목록이 동적으로 작성되도록 구현하였습니다. 정적인 HTML 마크업과 달리, DB가 변경되면 목록이 자동으로 업데이트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우측 하단부에 작게 자리한 기존의 퀵 메뉴 모음을 본문 영역으로 들여오고 크기를 키워 접근성을 높였습니다.
분산된 도서 소개 영역들을 탭 형식으로 통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공지사항과 마찬가지로, 임시 DB에서 HTTP 통신으로 불러온 데이터를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기준(대출 횟수, 추천 수, 등록 일자)으로 내림차순 정렬합니다. 필요한 수만큼 추출한 도서 정보를 바탕으로 각 탭의 구성 요소를 구현합니다.
국가 공공도서관 배너 모음과 관련 사이트 목록을 보여주는 드롭박스 UI가 위치합니다.
각종 방침 및 기관 정보를 포함합니다.
1차 메뉴 위로 커서를 옮기면 2차(하위) 메뉴 모음이 하단에 등장합니다. 사용자가 현재 보고 있는 1차 메뉴를 쉽게 파악하도록 텍스트 및 아이콘을 사용하여 정보를 분명하게 제공합니다.
공공기관에 적합한 차분하고 신뢰를 의미하는 청색을 메인 컬러로 선택하였습니다. 서브 컬러는 유사색으로 배색하여 안정감과 조화를 지향하였습니다.
가독성이 좋은 고딕 계열 폰트 중에서 비교적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나눔스퀘어’ 폰트를 선택하였습니다.
상징적인 의미 전달을 위해 디테일을 중시하였고 컬러 테마를 일치시켜 통일감을 주었습니다.